경제(economy)/재테크, 이벤트

파킹 통장 추천 (토스 vs 카카오 vs 신한 vs 케이뱅크) ft. 23년 8월 기준

루네리 2023. 8. 20. 17:08
728x90

 

일시적으로 생기는 여유자금 어떻게 투자해야할까?


저와 같이 여러분들은 작게는 몇 만원부터 많게 몇 천만원까지 돈이 본인들의 입출금 계좌에 있을겁니다.

카드 대금 결제 목적이든, 주식을 매도하고 아직 새로운 투자처를 못찾아서 등 여러가지 이유가 있을겁니다.

이 돈을 가만히 놔두는 건 물가 상승률(3%)나  다른  투자 거래처의 수익률에 비해서 매우 손해 처럼 보입니다.

 

그래서 당장 어디 잠깐 맡길 수 있고,  수익률이 괜찮은 투자처를 찾게 되죠.

거기에 대한 해답은 파킹통장입니다.

 

입출금이 자유롭지만 일반 입출금 통장금리에(0.1%) 비해 파킹통장은 (2~2.3%)로 무려 20배에서 23배 높은 이자수익률을 보여줍니다. 당연히 안 할 이유가 없습니다. 

 

 

어떤 파킹 통장을 이용해야할까? (케이뱅크, 신한, 카카오, 토스 비교)


 

그렇다면 어디 은행의 파킹통장을 이용해야 할까요? 본인이 쓰는 주은행에 파킹통장이 있고 편리함을 크게 생각한다면

그대로 본인 주은행에 쓰셔도 됩니다.

하지만 만약 조금이라도 이득 보고 싶은 분들은 결론부터 얘기하면 

 

케이뱅크를 추천드립니다.

 

여러 곳이 있지만  토스, 카카오, 신한, 케이뱅크를 비교하려 합니다. 만약 더 좋은 곳이나 비교 요청드리면 추가해서 수정하도록하겠습니다.

0123
파킹 통장비교 (케이뱅크, 신한, 카카오, 토스순)

얼핏 보면 케이뱅크가 제일 좋아보입니다.

그렇다면 아래 표를 통해 좀 더 분석하도록 하겠습니다.

 

금리 부분은 케이뱅크 승, 한도 부분에서는 토스의 승리입니다.

하지만 많은 돈을 파킹통장에 넣을일은 잘 없습니다. 그 돈이면 다른 투자를 하거나 사고싶은 자동차를 사기에 한도는 카카오뱅크 이상이면 충분해보입니다

ㅣ매일 이자받기를 하면 더 이득일까?


매일이자받기 하면 얼만큼 차이 날까?.

이자를 필요할때에 받아서 쓰는것도 중요하지만

재투자 측면에서도 중요하죠

 

예시로 계산 간단하게 하기위해서 세전, 토스(2%)로 해보겠습니다.

 

10,000,000원에 2%면 1년 이자가 20만원입니다

하루 이자가 약 0.00548%입니다. 하루에 548원을받을수 있죠 만약 매일 받는다면

10,000.000 x 1.00548% 에서 이자율을 365승 하면 = 10,202,800원입니다.

2,800원으로 그리 크지는 않지만 만약 이보다 더 한 묵돈을 계속쥐고 있다면 확실하게 

매일 이자받는게 더 이득입니다.

 

ㅣ끝으로


위 비교는 23년 8월 기준입니다. 즉 앞으로의 금리 변화나 은행쪽 정책에 따라 바뀔 수 있습니다.

크게 유의미하게 바뀌면 새로운 소식과 비교와 함께 포스팅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