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stock)/주식 알파

배당락, 배당기준일, 배당일이 뭘까?

루네리 2023. 9. 7. 00:20
728x90

주식을 하면서 여러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들을 보면

정말 똑똑하신 분들도 있고

분탕을 치는 분들도 계십니다.

 

그러다가 가끔 주식을 잘 모르는 주린이 분들도 보입니다.

주린이 분들이 여러 질문을 합니다.

주가가 오를까요? 지금 팔아야 할까요?라는

그 누구도 알 수 없는 질문을 하기도 하고

 

배당금 왜 안들어오죠?

10000원 들어와야하는데 5000원 밖에 안들어왔어요..라는

안타까운 질문을 하기도 합니다.

 

모르는 것은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모른다고 뭐라하는 이들도 처음에는 몰랐으며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성장합니다

사람이든 동물이든 그렇잖아요. 

그렇다면 저와 함께 알아봅시다.

 

l 배당이란 ?


회사가 열심히 영업 활동을 해서 벌어들은 순이익 중 일부를 회사 주인인 주주들에게 일부 나눠주는 형태를 말합니다.

 

얼마전 까지만 해도 한국은 주주환원에 대해 약한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이사회의 감시 기능 유명무실화, 재벌형태의 기이한 구조의 자본주의 때문입니다.

하지만 진정한 자본주의의 나라 미국을 따라가고 주주들의 목소리가 힘이 커지면서 점차 주주환원(배당요구)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배당투자에 관심이 많아진것도 한 몫 하고요

 

l 배당기준일, 결산일


<배당기준일?>

- 회사가 주주들에게 배당(or  주식)을 지급하기 위해 기준일 정해 놓은 날입니다.

 

하루에 수억~ 수백억씩 거래되는 주식 시장 속에서

누구에게 배당금을 줘야할지 정하기 위해 설정하는 날입니다. 결산일이라고도하죠

'배당기준일'로 설정 해놓은 날 주식을 보유해야 주주 권리명부에 등재되어서 추후에 배당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는 연 1회 배당하는기업들이 많아 12월 31일을 배당기준일로 많이 합니다.

 

'아하 그러면 12월 31일에 주식을 사면 배당금 주나요?'

---> (X ) 아닙니다. 주식을 사면 돈이  실제로 빠져나가는 것은 한국 증시 기준 D+2일입니다.

   즉 이틀 뒤에 돈이 빠져나가고 실제 주식이 내 소유가 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일종의 예약 했다고 생각하면 쉽습니다.

즉 그렇다면 31일에 주식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29일에 주식을 구매하여야합니다

(29~31일이 모두 쉬는날 없는 평일이란 기준하에)

 

'아하 그러면 미국 주식 배당 받을라면 29일에 사면 되겠군요??'

---> (X ) 아닙니다. 미국은 우리나라와는 다르게 D+3 입니다 즉 체결되는데 3일이 걸리죠.

즉 3일전에 미리 사면 됩니다. 하지만 한국 증권 사통해서 사다보면 실제로 체결이 느릴 수 있으니

 하루 정도 더 4일정도 미리사는 것을 추천합니다.

 

l 배당락


<배당락?>

- 주식을 사도 배당금을 받을 수 없는 다음날을 의미합니다

 

즉 31일이 배당기준일이면 29일에 주식을 사야 배당금을 받는데 

30일에 사면 배당금을 못받습니다

이때 1주당 배당금 규모만큼 주가가 30일에 떨어지게 됩니다.

배당을 받을 권리를 놓쳤으니 그만큼 주식가격이 하락하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  배당락 영업일인 12월 30일에 모든 주식들이 파랗게 내려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l 배당기준일, 배당락 정리


그럼 이제 여러분들은 언제 주식을 주문해야 배당금을 받을 수 있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그럼 이제는 배당금을 놓치지 않을 수 있게 됩니다.

표로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실질적 배당 기준일 배당락  배당 기준일
12월 29일 ( D-2일) 12월 30일 (D-1일) 12월 31일

게다가 여러분들 추가적인 것들도 알게 되었습니다

 

 

실질적 배당기준일에는 주가가 상승

 배당 받기 위해서!

 

배당락일에는 주가가 하락!

 배당 받을 권리가 사라졌으니깐!

 

물론 위의 설명이 항상 맞는 것은 아닙니다. 갑작스런 호재나 악재가 터지면 배당락, 배당기준일과는 상관없이 주가가 오르거나 내려가기 때문이죠.

하지만 보통의 경우는 대략 위 사항을 따라갑니다.

 

위 사항들을 명심하기 바라며 다음 포스팅은 위의 상황에 따른 주식 매매전략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728x90